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사람을 살리는 심폐소생술 (CPR)

by 건강이1011 2022. 11. 2.

지난주 29일 토요일밤 할로윈축제를 즐기러 이태원에 간  사람들 중 이태원 세계음식거리의 좁은 비탈길에서 인파가 몰려서 많은 사람들이 넘어지며 대규모 질식, 압사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 사고로 많은 사상자가 나왔습니다. 

이태원 사고로 희생되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태원 사고 직후 구조대원들이 응급처치를 위해 CPR(심폐소생술)을 실시 하였고 너무 많은 사상자로 시민들중에서도 심폐소생술을 할수 있는 사람들이 함께 응급처치를 하였습니다. 

심폐소생술(CPR)이란?

심폐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멎었을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심장이 뛰지 않는 환자에게 4분이내에 CPR을 실시하여 응급처치를 하면 생존율이 80%까지 높아지지만 4분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될 경우 1분당 7%~10%생존률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장이 다시 뛸때까지 시간을 벌어주는것이고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드는건 자동심장 충격기의 역할이라고 보면됩니다.

즉 심장이 다시 뛸때까지 심장을 펌프질로 지속압박을 하여 몸속 장기와 뇌에 혈액을 공급해 주는겁입니다. 

 

심폐소생술(CPR)의 순서와 방법

1. 의식/호흡을 확인 및 주변ㅇ[ 도움요청합니다(119신고 및 자동제세동기)  

2. 가슴 압박 30회(분당 100~120회/약 5CM이상의 깊이)

3. 기도개방 및 인공호흡 2회 

4.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의 무한반복 

 

https://youtu.be/q7J2T6MFA9g

출처 : 질병관리청 아프지마TV "올바른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법" 

심폐소생은 우리의 목숨을 살리는 중요한 응급처치입니다. 

소중한 가족과 이웃을 위해서라도 심폐소생술을 배워야 합니다. 

 

댓글